장성 파파야


이다슬  





     나는 2010년부터 6년간, 아열대 지역에서 자라는 잡초들과 열대작물의 한대지방 생장 가능성을 주제로 독립적으로 수행해온 잡초 재배 프로젝트와 파파야의 실험적 재배 시도와 병행하여, 러시아 정부와의 장기 프로젝트 협상 과정을 지속해 왔다. 이를 위해 서울에서 비교적 접근이 쉬우면서 한 겨울 평균 최저 기온이 –9°C인 김포 보구곶 일대 비어있는 창고를 임대해 약 1년간 파파야 재배를 시도했다. 한랭지역에서 열대과일을 재배하여 수확으로 이루어지는 이 과정은 비공식 통신, 연구 제안서 제출, 기후변화 관측 항목과의 통합 요청 등 복합적 경로를 통해 시도되었고, 결국 2020년, 대한민국 **국립생태연구진흥원(NIE)**의 기술 자문과 생물 종 데이터 공유를 기반으로 **러시아 연방정부 광산복원청(FGI-RMRC)**과의 공동 승인 협약이 체결되었다. 그리고 2015년 6월, 카디끄찬(Kadykchan) 지역 폐광지대 내 비활성 구조층을 실험대상지로 지정하고, *Carica papaya L.*의 제한적 생육 실험에 대한 정식 재배 허가가 발급되었다. 


     2016년 3월, 러시아 카디끄찬(Kadykchan) 폐광 지역에 위치한 비활성 열수층(geothermal inactive aquifer) 위에 있던 폐건물을 활용해 김포 보구곶에서 했던 것과 비슷한 임시 온실 구조물¹을 설치하고, 섭씨 12도 이하에서 생육이 중단되는 열대성 과수 Carica papaya L. (제주 계통)²의 저온 생육 가능성을 두고 실험적으로 재배했다. 현장 기온은 야외 기준 연평균 1.7°C, 실내 구조물 내 지열 잔존 영향으로 최대 27.3°C를 유지하였고, 광량(PAR), 토양 pH, 대기 습도 등의 변수는 생장 한계치 이하로 측정되었음에도 2016년 4월 27일, 첫 번째 개화 현상이 관측되었다³. 조도, 토양의 비열, 대기 습도, 광합성 유효광량(PAR) 수치 모두 기준치를 밑돌았으나, 지열 잔존 구역 내 제한적 환경에서 초기 개화가 관측되었고, 이는 해당 재배가 단발적 성공인지, 일시적 생리적 오류인지 불분명한 채 기록으로만 남았다. 


     그로부터 9년이 지난 2025년, 무브노드에서 보이는 본 프로젝트는 그 불확실한 기록을 강원도 태백시 장성동 지역에 재현하는 시도다. 이 지역은 폐광 지영인 카디끄찬(Kadykchan)과 같이 2024년 장성광업소 폐광 이후 빠르게 인구가 감소하고 있으며, 청장년층의 이탈과 함께 고령 인구 비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기후 조건은 연평균 9.2°C, 1월 평균 –8.4°C, 최저기온 –19.7°C로 측정된다⁴. 이는 파파야 재배에 적합하지 않지만 김포 보구곶에서의 재배 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육 한계 조건을 재구성하고 열매 형성과정을 관찰하는 설치 환경을 구축했다. 


     전시는 구조물, 사운드, 작물 생장(P-KD06, P-KD08, P-KD11에서 열린 파파야에서 채취한 씨앗들의 후손들의 후손들), 기록이라는 네 요소로 구성된다. 특히 러시아에서 파파야를 재배하던 당시, 식물의 생장 주기와 온도 변화에 따라 직접 작곡, 제작한 음악 166곡이 일정한 순서로 파파야 재배실 내부에서 반복 재생된다⁵. 


     이 작업은 재배와 실패, 생물학과 기억, 기록된 사실과 경험과 증거물 사이의 경계에서 작동한다. 나는 열대 식물이 한랭 지대에서 자라날 수 있는가라는 질문보다는, 왜 그러한 시도가 반복되는가에 주목하고 있다. 이 작업은 생장 조건의 한계를 넘는 재배 시도이자, 비현실적 생물학 실험을 전시 공간에 유입함으로써 현실과 가상, 실존과 허상 사이의 경계 상태를 드러낸다. 기록자는 재배자이며, 동시에 실험의 증인이다. 따라서 나의 오랜 프로젝트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이 재배가 왜 반복되고 있는가이다. 이는 곧 불가능한 생장 조건 속에서 의미 없는 돌봄을 반복하는 인간의 행동 패턴에 대한 관찰이다. 《장성 파파야》는 하나의 생육 실험이자, 기억과 생물학 사이에서 흔들리는 역기능적 재배 일지이다. 나는 모든 것이 실존했다고 말을 하지만, 가공의 프로젝트라고 의심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하지만 언 손을 입김을 불어가며 치열하게 기록한 <카디끄찬 파파야 재배 일지>는 프로젝트가 실존했음을 증명한다. 그리고 이 일지는 제주에서의 다음 프로젝트인 《종달새 날아 오르면 나를 꼬옥 안아주세요》로 이어지는 거대한 기록의 초석이다. 


     나는 불가능한 생장 조건 속에서도 사람의 의도적인 개입이 지속되는 구조, 실패의 구조물 안에서 의미가 발생하는 과정을 추적했고, 앞으로도 이 과정은 반복될 것이다. 





1. 비활성 열수층(geothermal inactive aquifer)은 과거에 지열 활동이 있었으나 지금은 거의 멈춘 지하수층을 말한다. 폐광 지역 아래 지열이 완전히 사라지지는 않았지만, 미약하게 잔존하는 상태를 말한다. 따라서 폐광 지역 내 열수 기반 온실 구조는 지열 난방 없이도 섭씨 12~14°C의 안정 온도 유지가 가능하나, 상대 습도 및 채광 지속 시간의 제한이 존재한다. 


2. 실험에 사용된 Carica papaya L. (제주 계통)은 2016년부터 2019년까지 **국립제주농업생명연구센터(NJABRC)**와 민간 농업회사법인 (주)세룰리아 파파야 바이오텍의 공동 품종 개량 프로그램을 통해 제주도의 난대 환경에 적응하도록 개발된 실내 재배 특화 계통이다. 해당 품종은 평균 생육 임계 온도를 약 14.5°C까지 낮추는 생리적 내한성 실험을 거쳤으며, 내부 실생묘 배양이 가능하도록 조직배양 기반 파종 시스템이 개발되어 있다. *Carica papaya L.*는 일반적으로 아열대~열대 기후에서 자생하며, 생장 임계 온도는 대체로 15°C 이상이다. 


3. 개화 관측일은 2016.4.27. 개체 수는 3주 중 1주, 초기 꽃 수 2개, 자가 수분 미진행. 


4. 태백시 기후 자료는 기상청 기후통계자료(2020~2024) 기반. 


5. 러시아 카디끄찬(Kadykchan) 지역의 혹한기 폐광 구조물 내부에서 파파야를 재배하던 당시, 섭씨 –26°C의 외부 기온과 낮은 생장 환경 속에서 작물의 생리적 안정과 생장 리듬 유지를 위해 166곡의 음악과 노래를 만들었다. 특히, 땅이 얼어버리는 현상을 막기 위해 베이스와 저음역대를 의도적으로 강조했다. 그래서 이를 효과적으로 재생하기 위해 300W에 달하는 우퍼 스피커를 지면 방향으로 설치했다. 결과적으로 지속적으로 ‘둥둥둥’ 거리는 진동에 의해 땅이 어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았다. 

파파야 재배 공식 메뉴얼 

폐쇄형 온실 내 파파야 재배 공식 매뉴얼 

위치: 러시아 연방 마가단 주 카디끄찬 

작성일: 2016년 8월 책임 저자: 이다슬 (Da-Seul Lee), 대한민국 


1. 서론 본 문서는 폐광된 광산 마을인 카디끄찬의 극한 기후 조건에서 열대 식물인 파파야(Carica papaya)를 재배한 최종 매뉴얼입니다. 

    이 매뉴얼은 수개월에 걸친 관찰과 정기적인 측정, 그리고 자율 온실 내부의 미세기후 조절 데이터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2. 목적 및 적용 범위 이 매뉴얼의 목적은 영하 30°C 이하로 떨어지는 북부 고위도 지역에서 태양광이 제한적인 상황 속에서도 파파야 재배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기술적 매개변수와 운용 지침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3. 기후 조건 - 11월~3월 평균 외부 온도: -27°C ~ -42°C - 12월 일조 시간: 3시간 미만 - 외부 습도: 35~55% - 눈보라 발생 빈도: 높음 

4. 온실 구조 - 크기: 6.2m x 4.4m x 2.8m - 구조체: 용접 금속 프레임 + 단열 패널 보강 - 외피: 자외선 차단 삼중 폴리카보네이트 - 문 및 창: 밀폐형 출입문 1개, 환기창 1개 

5. 에너지원 - 주요 전원: 디젤 발전기 (3.2kW) - 연료 탱크 용량: 45리터 - 연료 소비량: 시간당 1.8~2.2리터 - 보조 전원: 열 저장형 수온 보일러 

6. 조명 - 조명 타입: 풀 스펙트럼 LED 식물등 - 점등 시간: 하루 14~16시간 - 설치 높이: 식물 꼭대기에서 1.2m 위 

7. 난방 - 목표 내부 온도: 25~28°C - 난방 방식: 오일 라디에이터 + 적외선 패널 - 자동 차단 기능: 32°C 초과 시 

8. 환기 및 가습 - 환기: 속도 조절형 팬 2개 - 가습기: 초음파식 5리터 2대 - 목표 습도: 65~75% 

9. 토양 및 관수 - 배지 구성: 코코피트 40%, 펄라이트 30%, 버미큘라이트 20%, 바이오컴포스트 10% - pH: 6.0~6.5 - 관수 방식: 점적관수, 하루 3회, 식물당 400ml 

10. 생장 단계 - 발아기 (0~15일): 온도 28°C, 습도 80% - 생장기 (15~60일): 광주기 16시간, 온도 26~27°C - 개화기 (60~90일): 습도 유지, 광주기 조절 - 착과기 (90일 이후): 습도 65%까지 점진적 감소, 온도 안정 유지 

11. 연료 및 에너지 관리 - 하루 2회 연료 잔량 점검 - 잔량 10리터 이하 시 절전 모드 전환 - 공급 주기: 6일마다 1회 (운송 가능 시) 

12. 비상 대응 - 정전 시: 열 저장 장치 작동 - 환기 고장 시: 수동 창 개방 - 급격한 온도 저하 시: 보조 난방 장치 작동 

13. 관찰 데이터 - 3시간마다 온도 및 습도 기록 - 생장 사진 촬영: 하루 1회 - 잎과 줄기 상태 평가: 육안 + 적외선 카메라 

14. 결론 파파야는 내외부 조건이 극단적으로 다르더라도, 내부 미세기후를 정확히 제어할 경우 안정적으로 재배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성공 요인은 안정적인 전력 공급, 단열, 광주기 조절, 규칙적 가습이다. 

15. 부록 - 온실 구조 도면 - 연료 소비표 - 생장 그래프 (A1~A18) - 적외선 진단 이미지 - 장비 및 공급 업체 목록



ОФИЦИАЛЬНОЕ РУКОВОДСТВО ПО ВЫРАЩИВАНИЮ ПАПАЙИ в условиях закрытой теплицы в поселке Кадыкчан, Магаданская область, Российская Федерация 

Составлено: август 2016 г. Ответственный автор: Ли Да-Сыль (Da-Seul Lee), Южная Корея


1. ВВЕДЕНИЕ Настоящий документ представляет собой итоговое руководство по выращиванию тропического растения папайя (Carica papaya) в экстремальных климатических условиях заброшенного горнодобывающего поселка Кадыкчан. Руководство основано на данных многомесячного наблюдения, регулярных измерениях и управлении микроклиматом внутри автономной теплицы. 

2. ЦЕЛЬ И ОБЛАСТЬ ПРИМЕНЕНИЯ Цель руководства — предоставить технические параметры и операционные инструкции для успешного выращивания папайи в северных широтах, где температура окружающей среды регулярно опускается ниже -30°C, а солнечная активность ограничена. 

3. КЛИМАТИЧЕСКИЕ УСЛОВИЯ • Средняя температура воздуха с ноября по март: от -27°C до -42°C • Продолжительность светового дня в декабре: менее 3 часов • Уровень влажности наружного воздуха: 35–55% • Частота снежных бурь: высокая 

4. КОНСТРУКЦИЯ ТЕПЛИЦЫ • Габариты: 6.2м x 4.4м x 2.8м • Каркас: сварная металлическая конструкция, усиленная термоизоляционными панелями • Покрытие: тройной поликарбонат с УФ-фильтрацией • Двери и окна: один герметичный вход, одно вентиляционное окно 

5. ИСТОЧНИКИ ЭНЕРГИИ • Главный источник: дизельный генератор (мощность: 3.2 кВт) • Емкость топливного бака: 45 литров • Расход топлива: 1.8–2.2 л/ч • Резервный источник: тепловой аккумулятор с водяной ёмкостью 

6. ОСВЕЩЕНИЕ • Тип ламп: светодиодные фитолампы полного спектра • Продолжительность освещения: 14–16 ч/сутки • Распределение: равномерное по длине теплицы, высота подвеса — 1.2 м от вершины растения 

7. ОБОГРЕВ • Средняя целевая температура внутри теплицы: 25–28°C • Нагревательные элементы: масляные радиаторы + инфракрасные панели • Система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отключения при превышении 32°C 

8. ВЕНТИЛЯЦИЯ И УВЛАЖНЕНИЕ • Вентиляция: два вентиляторных модуля с регулируемой скоростью • Увлажнители: ультразвуковые, 2 шт. по 5 л • Целевая влажность: 65–75% 

9. ПОЧВА И ПОЛИВ • Состав субстрата: кокосовый торф 40%, перлит 30%, вермикулит 20%, биогумус 10% • pH субстрата: 6.0–6.5 • Полив: капельная система, 3 раза в сутки по 400 мл на растение 

10. ЭТАПЫ РАЗВИТИЯ РАСТЕНИЙ • Проростки (0–15 день): температура 28°C, влажность 80% • Вегетация (15–60 день): освещение 16 ч, температура 26–27°C • Бутонизация и цветение (60–90 день): поддержание постоянной влажности, контроль фотопериода • Формирование плодов (90+ день): постепенное снижение влажности до 65%, температурный режим стабильный 

11. УЧЁТ ТОПЛИВА И ЭНЕРГИИ • Запас топлива проверяется дважды в сутки • При остатке менее 10 л — переход в режим энергосбережения • График поставок: 1 раз в 6 дней (при наличи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окна) 12. АВАРИЙНЫЕ РЕЖИМЫ • При отключении питания: активируется тепловой аккумулятор • При обрыве вентиляции: ручное открытие вентиляционного окна • При резком падении температуры: переход к резервному обогревателю 

13. ДАННЫЕ НАБЛЮДЕНИЙ • Ведение журнала температуры и влажности каждые 3 часа • Фотофиксация роста растений — 1 раз в сутки • Оценка функции листьев и стеблей — визуальная и с помощью ИК-камеры 

14. ВЫВОДЫ Растения папайи способны выдерживать экстремальные внешние условия при условии точного контроля внутреннего микроклимата. Основными факторами успеха являются стабильное электроснабжение, изоляция, оптимальный световой режим и регулярное увлажнение. 

15. ПРИЛОЖЕНИЯ • Схема теплицы • Таблица расхода топлива • Графики роста растений (A1–A18) • Снимки ИК-диагностики • Список рекомендованн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и поставщиков 


Конец документа Все права защищены © Da-Seul Lee, 2016  

floating-button-img